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참조형 반환타입
- static 메서드
- 클래스 변수
- object클래스
- 운영체제의 구조
- 기본형 매개변수
- 프로그래머스
- 운영체제의 분류
- this()와 참조변수 this 차이점
- stateful widget 생명주기
- 호출스택
- 운영체제란 무엇인가
- PriorityQueue
- stateless widget
- 오버로딩
- 이것이코딩테스트다
- 오버라이딩과 오버로딩 차이점
- stateful widget
- 참조형 매개변수
- 초기화 순서
- webview_flutter
- 운영체제의 목적
- 인스턴스 메서드
- 조상의 생성자
- FLUTTER
- 명예의전당(1)
- static import문
- 객체 배열
- 운영체제의 예
- this()
- Today
- Total
목록Flutter (22)
Coram Deo
"BoxFit"은 Flutter에서 이미지 위젯을 다룰 때 사용되는 열거형(enumeration) 값 중 하나로, 이미지를 다양한 방식으로 위젯 영역에 맞게 크기를 조정할 때 사용됩니다. BoxFit은 Image 위젯과 같은 이미지 관련 위젯에서 fit 속성을 설정할 때 유용합니다. 이 속성을 통해 이미지를 어떻게 확장하고, 자르고, 맞추는지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.1. BoxFit.fill이미지가 위젯의 크기에 맞게 완전히 채워집니다. 이때 이미지의 가로 세로 비율은 무시되고, 위젯의 크기만큼 이미지가 늘어나거나 줄어듭니다.특징: 이미지가 왜곡될 수 있음.Image.asset('assets/image.png', fit: BoxFit.fill) 2. BoxFit.contain이미지는 위젯 영역 안에 전체가..
FutureBuilder와 StreamBuilder는 모두 Flutter에서 비동기 데이터를 UI에 반영할 때 사용하는 위젯하지만 두 위젯은 처리하는 비동기 데이터의 성격에 차이가 있으며, 그에 따라 동작 방식도 다름1. FutureBuilderFutureBuilder는 한 번만 결과를 반환하는 비동기 작업을 처리할 때 사용됩니다. Future는 비동기 작업이 완료되면 한 번 결과를 반환하고, 그 이후에는 변화가 없습니다.특징:단일 이벤트: Future는 하나의 결과 또는 에러만 반환합니다.결과를 기다림: UI는 Future가 완료되기를 기다리고, 완료된 결과를 바탕으로 빌드합니다.일회성 작업: API 호출, 데이터베이스 조회 등 결과가 한 번 반환되면 더 이상 변화하지 않는 작업에 적합합니다.사용 예시..
1. go와 push의 차이- go화면 전환시 기존 페이지를 새로운 페이지로 대체한다.뒤로 가기 없다. - pushstack 구조로 페이지가 쌓인다.그래서 뒤로 가기가 가능하고, back 버튼이 생긴다. 2. goNamed와 go의 차이- goNamed화면 전환시 이름을 가지고 전환함 - go화면 전환시 path를 가지고 전환함
장바구니 페이지 - ListView 사용하여 product 보여주기ListView.builder( itemCount: cartMap.length, itemBuilder: (context, index) { int productNo = int.parse(cartMap.keys.elementAt(index)); Product currentProduct = productList .firstWhere((element) => element.productNo == productNo); return basketContainer( productNo: productNo, produ..